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enerate entity
- 리눅스
- docker
- docker 설치
- java8
- swagger
- CentOS6
- spring boot
- spring
- dto valid
- NextJS
- custom valid
- generate pojos
- Java
- SpringBoot
- 헤더 설정
- Next.js 14
- 초기 세팅
- header setting
- React
- java9
- 초기 구축
- 도커
- ollama langflow
- jvm
- memcached
- jpa entity자동
- JPA
- JavaScript
- MySQL
- Today
- Total
목록4. JAVA (76)
개발자의 길
public String GetResultServerToServerData( String mapTagURL ) { URL m_url_vle = null; URLConnection m_conn_vle = null; InputStream m_is_vle = null; InputStreamReader m_isr_vle = null; BufferedReader br = null; String all_read_buff = ""; StringBuffer sbMapURL3 = new StringBuffer(); try { m_url_vle = new URL(mapTagURL); ..
jar로 묶을 폴더를 c:\에 넣어 둔다 해당 폴더로 이동 폴더 안에서 명령어 실행 - jdk가 설치 되어있어야 한다 ex ) #cd c:\test #c:\J2EE\JAVA\jdk1.6.0_07\bin\jar.exe cvf test.jar . 현재 내 컴퓨터의 jdk의 경로는 저곳이고, 옵션 내용은 c 는 새로운 아카이브를 만드는 것이고, v 는 만들어 지는 과정을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것이고, f 는 새로 만드는 파일의 이름을 지정 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폴더(.)내용을 test.jar라는 파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http://mwultong.blogspot.com 좋은 블로그군..
자바는 기본적으로 문자에 대해서는 유니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 영문이든 한글이든 2바이트로 처리합니다. 때문에 다른 시스템과 연동되는 부분등과 같은 곳에서 쓰이기 위해서 한글은 2바이트 영문은 1바이트로 사이즈를 구해야 할일이 있더군요. 그때 만들어 보았던 소스 입니다. public static final int getByteSizeToComplex(String str) { int en = 0; int ko = 0; int etc = 0; char[] string = str.toCharArray(); for (int j=0; j='A' && string[j]='\uAC00' && string[j]
다들 아실법한 단순한 얘깁니다만, 아직 많은 분들이 모르시는 것 같아 다시한번 정리합니다. 아래의 각각의 예제는 잘못 사용하고 계시는 전형적인 예들입니다. 1. 서블렛에서 instance variable 의 공유 1.1 서블렛에서 instance variable 의 공유 - PrintWriter - 다음과 같은 코드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 public class Count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PrintWriter out = nu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