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pring boot
- swagger
- generate entity
- Java
- java9
- jpa entity자동
- 초기 세팅
- 리눅스
- custom valid
- SpringBoot
- JPA
- MySQL
- ollama langflow
- 초기 구축
- 도커
- CentOS6
- React
- header setting
- dto valid
- NextJS
- JavaScript
- jvm
- java8
- 헤더 설정
- docker
- docker 설치
- Next.js 14
- generate pojos
- memcached
- spring
- Today
- Total
개발자의 길
1. 준비 https://developers.facebook.com/apps/ ->앱을 생성https://developers.facebook.com/apps/앱ID/settings/advanced/(고급설정) - >클라이언트 토큰 확인, 앱 시크립 코드 요청(예), 앱설정에 대한 API 액세스 허용(예)https://developers.facebook.com/apps/앱ID/review-status/(앱검수) -> 앱공개https://developers.facebook.com/apps/앱ID/add/ (제품추가) -> FACEBOOK 로그인, 마케팅API 시작하기 마케팅 API ->설정에 참조할 광고 계정 ID 추가FACEBOOK 로그인->REDIRECT URI 추가 2. ACCESS TOKEN 가져오기..
브라우저에서 개발자 모드(F12)로 볼 때, 로그 찍는 방법이다. var console = window.console || {log:function(){}}; console.log("로그!!!");
보통 $("#aaaa").click(function(){ --실행 )}; or $("#aaaa").bind("click",function(){ --실행 )}; or $("#aaaa").on("click",function(){ --실행 )}; 을 많이 쓰는데, 스크립트 상에 innerHTML로 추가된 개체를 접근하는 경우는 위에 이벤트로 접근이 안된다. html이 로딩 후에, 변경 추가 된 태그에 이벤트를 걸 경우는 $(document).on("click","#aaaa",function(){ --실행 )}; 으로 접근 해야 제대로 된다.
jquery 의 셀렉터 접근 시에, 아이디나 name 이 유동적일 때, 접근하는 방법 $("input[name='aaa']") =>'aaa' 란 name 접근 $("input[name^='aaa']") =>'aaa' 로 시작하는 name 접근 DB에서 like 'aaa%' 와 동일 $("input[name*='aaa']") =>'aaa' 가 포함된 name 접근 DB에서 like '%aaa%' 와 동일 $("input[name$='aaa']") =>'aaa' 로 끝나는 name 접근 DB에서 like '%aaa' 와 동일 생각보다 유용하다. 여러개의 name을 접근할때 많이 쓰고, 유동적인 ID일 경우 $("input[id^='aaa']") 로 많이 쓴다. ID 뒷부분에 유동적인 key 값을 많이 붙이는..
숫자 관련 함수 ▶ ABS(숫자) : 절대값 출력. select abs(123); ▶ CEILING(숫자) : 값보다 큰 정수 중 가장 작은 수. --양수일 경우는 소숫점 자리에서 무조건 반올림(4.0과 같은 소숫점 자리 0 값은 제외) --음수일 경우는 소숫점 자리를 무조건 버림 select ceiling(4.0); select ceiling(4.1); select ceiling(4.9); ▶ FLOOR(숫자) : 값보다 작은 정수 중 가장 큰 수[실수를 무조건 버림(음수일 경우는 제외)]. --음수일 경우는 [.0/.00/.000/...] 을 제외하고 무조건 소숫점을 버리고 반내림(?) select floor(4.0); select floor(4.1); select floor(4.9); sele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