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도커
- CentOS6
- 리눅스
- React
- jpa entity자동
- java9
- spring boot
- JPA
- Java
- MySQL
- JavaScript
- custom valid
- memcached
- 초기 세팅
- jvm
- generate entity
- docker 설치
- java8
- 헤더 설정
- SpringBoot
- generate pojos
- ollama langflow
- header setting
- swagger
- Next.js 14
- docker
- spring
- 초기 구축
- NextJS
- dto valid
- Today
- Total
개발자의 길
1. React Server ComponentNext.js 13 버전부터 App Router가 도입되면서 그 이전의 pages 폴더 방식의 라우팅에서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났는데요.라우팅의 변화에 앞서 먼저 살펴볼게 바로 React 서버 컴포넌트입니다.리액트 서버 컴포넌트는 React 버전 18부터 도입된 새로운 아키텍처인데, 나오자마자 Next.js 에서 도입했습니다.새로운 아키텍처는 리액트 컴포넌트를 두 가지로 구분하는데요.바로, "Server components"와 "Client components"입니다.1.1. Server ComponentsNext.js의 모든 컴포넌트는 기본적으로 서버 컴포넌트입니다.서버 컴포넌트는 서버 사이드 상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서버의 파일을 읽을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jpa 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먼저 jpa 의 entity 파일로 db 구조를 짜서, 자동으로 db에 create table 하는 방식은 쉽게 옵션으로 가능하다. 하지만 이미 짜여진 db 구조를 가지고 반대로 jpa entity 파일을 만들려고 하면, 노가다를 할 수 밖에 없다. 컬럼이 한두개면 괜찮지만, 너무 많은 컬럼과 테이블이 있으면, 이걸 하나하나 하기도 번거롭고, 오타도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자동 생성을 찾아보던 중에 발견한 방법이다. 우선 나는 mysql 로만 테스트를 진행해봤다. intellij 에서 mysql 연결을 먼저 한다.(오른쪽 사이드에 위치) intellij 로 프로젝트를 진행 한다 하면, 왼쪽 프로젝트 하단에 Scratches and Consoles 이 보일것이다. Sc..
java 든 spring 이든 파일 다운로드를 바로 시키는 경우가 아닌, pk값을 가지고 db에서 파일 정보를 조회해 와서 다운로드 시키는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이럴 경우 2가지 케이스가 존재한다. 1. 실제 파일 경로 ex) - /home/my/test.png - C:\Desktop\test.zip 2. url 경로 - http://test.test.com/test.png - https://test.test.com/aaa.zip 실제 파일이 저장된 경로를 가지고 있든, 브라우저에서 호출되는 url 경로를 가지고 있는 2가지 이다. 2가지 케이스에 대한 예제를 남긴다. 1번 케이스 (file path) - FileDownloadResponse.java package com.test.common.resp..
타임리프에서는 효율적인 오브젝트 사용을 위해 기본적인 오브젝트 유틸리티를 제공하고 있다. 타임리프의 기본 제공 유틸리티 함수는 다음과 같다. #numbers #strings #arrays #lists #sets #maps #objects #bools #dates #calendars #uris #messages #conversions #aggregates #ids 다음 중 자주 사용하는 주요 함수만 정리하도록 하겠다. numbers 종류 설명 ${#numbers.formatInteger(num,3)} ${#numbers.arrayFormatInteger(numArray,3)} ${#numbers.listFormatInteger(numList,3)} ${#numbers.setFormatInteger(numS..
어떤 자바 버전을 사용해야 할까? 최신 Java 버전은 이제 6개월마다 따른다. 수많은 새로운 버전이 출시됨에 따라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용 시나리오가 존재 기업의 기존 프로젝트에서는 Java 8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음 일부 레거시 프로젝트는 Java 1.5(2004년 출시) 또는 1.6(2006년 출시)에서 중단되기도 함 최신 IDE, 프레임워크 및 빌드 도구를 사용하고 그린 필드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경우 Java 11(LTS) 또는 최신 Java 17 LTS를 망설임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개발의 특별한 분야가 있는데, 자바 버전은 기본적으로 자바 7에 고정되어 있고, 특정한 자바 8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코틀린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전환 특정 자바 버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