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vm
- jpa entity자동
- spring
- java9
- 리눅스
- ollama langflow
- JavaScript
- 초기 세팅
- 도커
- Java
- React
- memcached
- NextJS
- JPA
- custom valid
- spring boot
- 헤더 설정
- dto valid
- 초기 구축
- SpringBoot
- CentOS6
- MySQL
- generate entity
- docker
- java8
- swagger
- Next.js 14
- header setting
- generate pojos
- docker 설치
- Today
- Total
개발자의 길
//내용에 숫자만 있는 경우SELECT * FROM temp_table WHERE column1 REGEXP '^[0-9]+$'; //내용에 특수문자가 포함된 경우SELECT * FROM temp_table WHERE column1 REGEXP '[`~!#$%^&*|\\\'\";:\/?]';
1. FEDERATED 를 사용하는 이유 - mysql 에서 물리적으로 같은 서버면, 조회 권한만 주면 alias를 앞에 붙여서 다른 db 끼리 join 및 조회를 할수가 있다 ex) select a.a1 from db1.db_test1 a inner join db2.a1 b on a.a1=b.test1 하지만, 물리적으로 다르면, 같이 조회를 못하고 각각 할 수 밖에 없다. 어쩔수 없이 다른 물리적 DB를 같이 조회를 하고 싶으면, 메인이 되는 DB 서버에 원격으로 붙는 형식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게 federated 기능이다. * oracle에서 dblink와 유사한 기능이다 2. 방법 - DB1 : 원본 데이터 DB- DB2 : 원격으로 원본 데이터를 가져올 DB 우선 DB2(원격) 에만 feder..
넷플릭스의 Linux performance analysis in 60,000ms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번역한 글입니다.리눅스 서버에 성능 이슈로 인해서 로그인했을 때 우리가 가장 먼저 체크해봐야할 사항은 어떤것들일까?넷플릭스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것 처럼 아마존 EC2 리눅스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런 대규모 서버를 모니터링하고 성능을 체크하는데에는 툴을 사용하는데 클라우드 전체의 모니터링에는 Atlas, 하나의 EC2 instance의 성능체크에는 Vector를 사용한다. 이 툴을 이용하면 대부분의 이슈는 해결 가능하지만, 가끔씩은 EC2 instance에 로그인해서 리눅스의 표준적인 성능 체크 툴을 사용할때가 있다.첫 60초이 글에서는 1분 안에 표준적인 리눅스 환경에서 CLI를 이용해 어떤 것들..
# usermod [옵션] [계정명]옵션 설명 -u사용자 계정의 UID 생성 -g 사용자 계정의 1차 그룹의 GID 지정 -G 사용자 계정의 2차 그룹의 GID 지정 -c Comment -d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를 지정 -e 사용자의 계정 만기일 지정 -f 사용자의 계정 유효일 지정 -s 로그인 시 사용할 기본 쉘 지정 예제 1) 옵션 [ -u ]# cat /etc/passwd | grep tester : tester1 ,tester2 계정 확인# usermod -u 700 tester1 : tester1 계정의 UID 값을 700 변경# uesrmod -u 701 tester2 : tester2 계정의 UID 값을 701 변경# cat /etc/passwd | grep tester : tester1 , ..
서버를 실행해 놓고, 실제적으로 여러 클라이언트가 다 붙어서 메세지를 주고 받는 형식이다. 이 방식으로 웹소켓용 서버를 띄워 놓고, db나 다른 액션이 있을때 마다 다른곳에서 서버로 전송하고, 다른 클라이언트에서 그 메세지를 받아서 동적으로 처리가 가능 할것 같다.. 밑에 예제는 완전 쌩짜로 만든거고 실제로 spring framework + jquery 조합으로는 stomp.js+sockjs.js 조합으로 이용하면, 하위 브라우저(websocket이 지원안되는) 까지 체크 해서 sockjs가 처리해줘서, 실무에선 해당 방식을 사용하길 권한한다.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x.websocket.OnClose;import javax.websocket.On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