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header setting
- spring boot
- memcached
- docker 설치
- JavaScript
- 도커
- JPA
- jpa entity자동
- spring
- generate pojos
- swagger
- Java
- ollama langflow
- generate entity
- MySQL
- custom valid
- docker
- CentOS6
- 헤더 설정
- 리눅스
- dto valid
- React
- jvm
- NextJS
- java8
- 초기 세팅
- java9
- Next.js 14
- 초기 구축
- SpringBoot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phaze (1)
개발자의 길
Springboot swagger를 phaze(dev,prod,real) 별로 활성 비활성 하는 방
swagger-ui를 적용하면 아주 편하고 좋다. 하지만, 이건 개발서버에서만 노출해야 하고, real(prod)에서는 비노출 하는게 맞다. 환경(phaze) 별로 활성/비활성 하는 방법을 3가지 적겠다. 셋중 하나를 적용하면 된다. 1. 설정파일(application) 설정 application.properties 파일 설정의 경우 [prod 설정 (application-prod.properties)] -> springfox.documentation.enabled=false [dev 설정 (application-dev.properties)] -> springfox.documentation.enabled=true application.yml 파일 설정의 경우 [prod 설정] springfox: docu..
4. JAVA
2022. 5. 3. 1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