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spring
- jvm
- JPA
- spring boot
- custom valid
- docker
- header setting
- 도커
- Next.js 14
- 리눅스
- 헤더 설정
- JavaScript
- CentOS6
- MySQL
- ollama langflow
- SpringBoot
- swagger
- java8
- generate entity
- jpa entity자동
- React
- java9
- dto valid
- generate pojos
- 초기 구축
- Java
- 초기 세팅
- memcached
- NextJS
- docker 설치
Archives
- Today
- Total
개발자의 길
crontab 본문
cron 은 일정시간을 두고 주기적으로 어떠한 명령어를 실행하고 싶을때 사용하게 된다.
1. 설정
# crontab -e
10 1 * * * rdate -s time.bora.net
10 : 실행할 분(0~59)
1 : 실행할 시간(1~23)
* : 실행할 일(1~31 / * 는 매일을 의미)
* : 실행할 월(1~12 / * 는 매월을 의미)
* : 실행할 주(1:월요일~7:일요일 / * 는 매주를 의미)
rdate -s time.bora.net : 실행할 명령어
10 1 * * * rdate -s time.bora.net 의미는 매일 1시 10분에 rdate -s time.bora.net 명령어(시간 업데이트) 를 실행 하라는 cron이 되겠다.
10 1,12,18 * * * rdate -s time.bora.net 와 같이 설정 할 수도 있는데 이는 1시, 12시, 18시 이런식으로 한 항목이
여러번 설정되어야 할때 사용 할 수 있다.
10 1 1-10 * * rdate -s time.bora.net 와 같은 설정 방법은 1일 부터 10일 까지를 의미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10 1 1-10/15 * * rdate -s time.bora.net 와 같은 설정 방법은 1일 부터 10일 까지 그리고 15일 을 의미한다.
로그는 기본적으로 /var/adm/cron/log 에 저장되며 이상이 있을경우 이를 확인하면 되겠다.
현제 설정된 cron tab 를 보고 싶으면
#crontab -l 로 확인 할수 있다.
※ 간속 솔라리스 에서 crontab -e 를 하면 vi에디터가 열리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기본 에디터 설정을 해 줘야 하는데
#export EDITOR=vi
위를 실행 시켜 주면 vi로 편집을 할 수 있으며
위 메용을 profile 등에 삽입하면 다음 편집때도 위 명령어를 입력 하지 않고
바로 vi로 편집 할 수 있다.
1. 설정
# crontab -e
10 1 * * * rdate -s time.bora.net
10 : 실행할 분(0~59)
1 : 실행할 시간(1~23)
* : 실행할 일(1~31 / * 는 매일을 의미)
* : 실행할 월(1~12 / * 는 매월을 의미)
* : 실행할 주(1:월요일~7:일요일 / * 는 매주를 의미)
rdate -s time.bora.net : 실행할 명령어
10 1 * * * rdate -s time.bora.net 의미는 매일 1시 10분에 rdate -s time.bora.net 명령어(시간 업데이트) 를 실행 하라는 cron이 되겠다.
10 1,12,18 * * * rdate -s time.bora.net 와 같이 설정 할 수도 있는데 이는 1시, 12시, 18시 이런식으로 한 항목이
여러번 설정되어야 할때 사용 할 수 있다.
10 1 1-10 * * rdate -s time.bora.net 와 같은 설정 방법은 1일 부터 10일 까지를 의미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10 1 1-10/15 * * rdate -s time.bora.net 와 같은 설정 방법은 1일 부터 10일 까지 그리고 15일 을 의미한다.
로그는 기본적으로 /var/adm/cron/log 에 저장되며 이상이 있을경우 이를 확인하면 되겠다.
현제 설정된 cron tab 를 보고 싶으면
#crontab -l 로 확인 할수 있다.
※ 간속 솔라리스 에서 crontab -e 를 하면 vi에디터가 열리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기본 에디터 설정을 해 줘야 하는데
#export EDITOR=vi
위를 실행 시켜 주면 vi로 편집을 할 수 있으며
위 메용을 profile 등에 삽입하면 다음 편집때도 위 명령어를 입력 하지 않고
바로 vi로 편집 할 수 있다.
'6.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smtp 서버 주소 가져오기 (0) | 2010.03.25 |
---|---|
리눅스 find 명령 (0) | 2010.01.25 |
rsync 설정 -ssh를 이용한 설정 (0) | 2010.01.20 |
[mail] 기업 환경을 위한 리눅스 블랙박스 만들기 (2) | 2010.01.20 |
java.net.SocketException: Too many open files 대처법... (0) | 2009.12.02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Comments